본문 바로가기

CRITICS

장파 : Re 보내지지 않은 편지 2013

장파 (아티스트)


과잉된 사랑

Excessive Love

                             

그의 작업 전반에는 사랑과 욕망의 구조적 관계 및 그것들에 의해 파생되는 이야기들로 가득 차있다. 욕망 속에서 사랑을 발견하고 싶은 열망. 작가는 그것의 불가능성을 받아들이기보다는 환상과 아름다움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환상의 영역으로 들어간 작가는 다시 그 속에서 사랑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왜냐하면, 환상은 욕망이 실현되는 시나리오를 보여주지 않기 때문이다. 라캉 정신분석에서 환상은 `우리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욕망할 수 있도록 해주는, 혹은 욕망하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하나의 틀로서 기능한다.'하였듯이. 그는 욕망의 심층으로 들어가 그것의 근원적 이유를 찾는 것이 아니라, 욕망의 표면에서 환상의 환영이 만들어내는 가능성의 영역을 이야기한다. 

The body of his work is filled wit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 desire, as well as with the stories which derive from both. Rather than accept the impossibility of the yearning to discover love within desire, the artist transports said yearning into the province of fantasy and beauty. Having followed it into such imaginations, he again searches for the possibility of love. The search is made possible by the fact that fantasy omits all scenarios in which desire is carried out. As in Lacanian psychoanalysis, which defines our fantasies in terms of a framework which either enables us to desire something or teaches us how to desire, the artist does not delve into the depths of desire in order to discover its roots. He instead speaks of the sphere of possibility created on the surface of desire by the phantasms of fantasy.

 


환상의 접면

Intersections with the Imaginary


오용석의 페인팅에서 보이는 공간은 물리적으로 평평하다. 뚜렷한 소실점이 없거나 약화시킴으로 3차원의 원근법적 깊이가 가지고 있는 현실감을 벗어나 판타지를 극대화한다. 또한, 그림의 얇은 표면이 갖는 의미 작용은 그가 그리는 얼굴의 이미지에서 더욱 선명하게 찾아볼 수 있다. 그는 잘린 머리와 같은 이미지를 반복하여 그리곤 한다. 그것을 거세된 욕망의 이야기로 해석할 수도 있겠지만, 그에 앞서 인격과 분리된, 표면으로 다루어진 얼굴을 보게 된다. 내면을 반영하는 얼굴이 아닌 얼굴의 껍데기는 표면의 표상이다. 깊이가 없는 표층의 세계가 가질 수 있는 존재의 희미함이 새로운 영역에 들어갈 수 있는 틈으로 작용한다. 그에게 표면의 세계는 현실과 비현실의 접면일 것이다. 욕망의 근원을 찾는 것이 아니라 환상의 세계에서 욕망의 표면들과 조우하는 것, 즉 그의 그림에서는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를 궁금해하는 것보다 현실의 욕망이 치환되는 과정을 추적하는 것이 그의 그림을 읽어내는 방법일지도 모른다. 

The spaces in Yongseok Oh’s paintings are physically flat. His use of indistinct or indistinguishable vanishing points strips his work of a sense of realism and fills it with an augmented fantasticality. The mechanisms of meaning within the thin surface of these paintings become all the more lucid through the faces which he draws. Oh’s work tends to include repetitive images such as severed heads. These images may be interpreted as a commentary on castrated desire, but, more importantly, they enable the viewer to observe the face as a surface cut off from humanity. The face as shell instead of the face as reflection of the interior functions as an image of the surface. The abstruse existences inhabiting the flat realm of the surface function as a gap leading into new domains. For the artist, the realm of the surface constitutes an intersection between reality and the unreal. One does not go about reading his paintings by hunting down the source of desire or pondering the message that his work seems to impart. The viewer would be better advised to encounter the surfaces of desire within the province of fantasy and pursue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desires of reality permutate into the unreal.



보내지지 않은 편지  

An Unsent Letter


깊이가 없는 표면이 유발하는 존재의 모호함은 그가 쓰는 소설의 형식에서도 비슷하게 드러난다.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화자는 대부분 1인칭 ‘나'이며, 서간체 소설의 형식을 주로 사용한다. 객관적 서술이 가능한 3인칭 시점과 달리, 1인칭 시점은 세계를 `나'의 내면으로 끌어들인다. 그렇게 `나'의 독백으로 가득 찬 소설이지만 독백과 방백 사이를 오간다. 편지라는 형식이 그것을 가능하게 해주는데, 그것은 편지의 진정한 수신자가 편지의 내용을 가장 잘 이해해줄 상대자로 설정했기 때문이다. 수신자에게 받을 답장을 기다리듯, 작가는 끊임없이 욕망 속에서 사랑의 가능성 발견하길 기대한다. 오용석은 그의 작업과 소설에서 본능, 충동, 욕망, 사랑을 환상의 프리즘에 투과시킨 스펙트럼으로 보여주고 있다. 우리는 그 프리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흥미롭게 지켜보면 될 것이다.

Oh’s novels are similarly characterized by an ambiguity of existence triggered by flat surfaces. The majority of his novels are epistolary novels narrated by a first person “I.” Unlike the somewhat objective accounts of third person narration, first person perspective situates itself and the reader within the interior of the “I.” It uses the soliloquy as its means of fluctuating between speaking in monologue and speaking aside. Such soliloquies are made possible by the epistolary form, largely due to the true recipient of these epistles having been designated as an individual best suited to comprehending their contents. As if waiting for a response to his letters, the artist ceaselessly anticipates the possibility of finding love in desire. The paintings and novels of Yongseok Oh present us with a spectrum of instinct, impulse, desire, and love filtered through the prism of fantasy. All we need do is observe the way in which the prism operates.

 

                                           <RE: 보내지지 않은 편지> 중에서, 장파, 2013

From “RE: An Unsent Letter,” JangPa, 2013


<롤랑의 노래 2013> 수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