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ZINES

진정한 탐정 TRUE DETECTIVE (크리티칼 2014)

우디 해럴슨 Woody Harrelson, 매튜 맥커허니 Matthew McConaughey. 캐스팅의 화려함 만으로도 이 드라마는 눈길을 끈다.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이번에 수상한 매튜 맥커허니, 그리고 우디 해럴슨의 연기만으로도 이 드라마는 충분히 볼만한 것이었다. 연기파 배우라 알고 있는 우디 해럴슨은 그렇다 치고, 초반기 젊을 때 그저 잘생긴 배우로 기억되던 매튜 맥커허니의 연기는 사실 소름이 돋을 정도였다. 혜성처럼 연기로 등장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시간이 흐를수록 자신의 외모와 인상에 의존한 연기를 한다면, 매튜 맥커허니는 포르노 배우 같던 젊은 시절의 모습을 모두 지워버리고, 마치 <몬스터 Monster>의 샤를리즈 테론 Charlize Theron처럼 <트루 디텍티브>에서 우리에게 다가온다. 보통, 미국드라마의 시즌이 40분 내외에 20편 이상 진행되는 것과 다르게, <트루 디텍티브>는 영화에 가까운 영국드라마의 6편 혹은 8편의 형태를 따른다. <트루 디텍티브> 시즌 1은 총 8회로 구성되어 있다.

 

태풍이 휩쓸고 간 루이지애나 주를 배경으로 <트루 디텍티브>는 아주 느리게 진행된다. 기존 미드의 속도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지루하게 느껴질 정도이다. 거기다 루이지애나의 독특한 풍광, 습하고 더운 늪지대로 가득한, 흔히 드라마에서 보던 LA나 마이애미와 달리 화려한 느낌이 아니라, 건조하고 푸석한 풍광은 이 드라마를 낯설게 만든다. 드라마가 장소 특히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낸다고 보았을 때, 뉴욕, 엘에이, 마이애미, 텍사스 등에 익숙한 우리의 시선에 루이지애나는 독특하게 다가온다. 하나의 사건을 8부작으로, 십년이 넘는 시간의 공백을 통해 다루는 방식 역시, 기존의 미국드라마가 지녔던 화려한 숨가쁨 과는 거리가 있다.

 

익숙하지 않은 지루함에도 불구하고 <트루 디텍티브>라는 제목은 강렬하게 나를 끌어당겼다. 공교롭게도 작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두 단어가 결합했기 때문이다.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거기에 통찰력을 더해가면서 전체의 흐름을 관망하는 방식에 있어서, 일종의 방법론에 있어서 나는 탐정의 방법론을 따른다. 다른 점이 있다면, 그 과정의 전체가 지향하는 목적이나 목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일반적으로 탐정은 사라진 사람이나 사물을 찾거나, 범죄를 저지른 이를 찾는다). '진정한 혹은 진짜', ‘탐정 혹은 형사’ 라는 번역에서도 알 수 있듯이, True Detective라는 제목 자체는 지나치게 진지해서 유머러스하게 느껴지기까지 한다. 처음에 그래서 이 드라마에 대한 궁금증이 더 증폭되었다. 이전에 언급한 <한니발>이 매 회마다 살인사건을 다루면서도 탐정이 존재하지 않는 드라마라면 (<한니발>에는 모든 것을 조정하려고 하는 '죽음'과 그것에 대항하려고 하는 '의지 Will'만 존재한다), 반대로 <트루 디텍티브>에는 '사건'과 그것을 해결하려고 하는 '탐정'만 존재한다(개인적으로 아주 흥미롭다).

 
한니발과 윌의 양자구도처럼 <트루 디텍티브> 안에도 독특한 마티 Marty 와 러스트 Rust의 관계가 있다. 모든 관계를 동성애적 관계로 환원한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범죄물의 대부분에서는 여성의 존재보다는 남성과 남성 사이의 유대가 훨씬 더 비중 있게 다루어지는 것은 사실이다(불평금지). 이들의 구체적인 관계보다 흥미로운 것은 그들의 이름이다. <한니발>과 <트루 디텍티브> 두 드라마에서 '한니발'과 '러스트'는 그들의 캐릭터가 고정된 인물이다. '한니발'은 신화적이고 역사적인 인물로 존재하며, 그의 이름은 그에게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가 로마인을 공포에 떨게 한 역사적인 인물을 따른다. '한니발'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무자비한 살상과 식인의 테마는 고대의 '한니발'의 루머에서 비롯된 것이다. 동시에 그 이름은 '죽음'을 상징하기에 적절하다. '한니발'을 연기하는 매즈 미켈슨 Mads Mikkelsen이 그 안에서 유일한 금발의 북구인 인 것은 오히려, 카르타고인의 혼혈적 이미지의 역반영이다(사실 한니발이라는 역사적 인물에 더 가까운 캐릭터는 잭 크로포드이다. 동시에 현재 미국의 인종비를 반영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다른 유일한 금발은 한니발의 상담의로 나오는 질리언 앤더슨 Gillian Anderson정도?). <트루 디텍티브>에서 '러스트' 역시 매우 흥미로운 이름을 지니고 있다. 그의 이름은 사물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현상을 지칭한다. 녹은 쇠가 아니며, 쇠에서 발생하는 자연 현상이다. 드라마에서 그의 캐릭터는 끝나는 내내 변함없이 일관성을 유지한다. 반면 <한니발>의 윌과 <트루 디텍티브>의 마티는 끊임없이 방황하는 캐릭터이다 (그 점에서 둘은 신화적인 영웅의 캐릭터랑 닮아있다). 드라마를 진행하는 내내 윌과 마티는 갈등하며, 고뇌하고, 방황한다. 윌과 마티의 다른 점은 윌은 드라마 내내 죽음을 상징하는 ‘한니발’과 대항하는 입장이지만, 마티는 ‘러스트’와 동료이다. 마티라는 그의 이름 탓일 수도 있다 (Marty라는 이름은 미국과 영국에서 여자이름으로 주로 쓰인다. 네이버 어학사전).

 

<트루 디텍티브>는 마티와 러스트를 인터뷰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드라마는 그들의 인터뷰를 통해 계속 과거로 트랙백한다. 러스트를 지루하게 인터뷰하는 영상은 <가늘고 푸른 선 Thin Blue Line>을 떠올리게 한다. 그것은 영상 뿐만 아니라, 나중에 발생하는 상황 때문이기도 하다. 지루한 사건의 기록은 러스트와 마티를 만나게 한 사건으로 돌아간다. <트루 디텍티브>와 <한니발>의 흥미로운 접점이 여기서도 발생한다. 두 드라마의 시작은 한 소녀의 살인인데, <트루 디텍티브>에서는 사슴뿔을 쓰고 기도하는 소녀의 이미지라면, <한니발>에서는 사슴 뿔에 받힌 소녀의 이미지이다. <트루 디텍티브>의 원작은 1895년에 발간된 로버트 W. 채임버스 Robert W. Chambers의 <노란 옷을 입은 왕 The King in Yellow>(미술하는 이에게는 비어즐리의 삽화로 더 유명한)이다. 짐작하건데, <한니발>의 사슴뿔 모티브 역시 채임버스의 소설에서 비롯된 것이라 여겨진다. 사슴의 모티브는 전통적으로 뿌리 깊은 신화적인 근원을 가지고 있다. <원령공주 Princess Mononoke> 역시 시시가미와 원령공주의 만남을 소재로 삼는다. 사슴은 자연 그 자체이며, 항상 온화하지만은 않다(시시가미-사슴신의 피는 온 세상을 죽음으로 이끈다). 사슴은 그 생과 사를 관장하는 역할로 나타나며, 그러한 성격은 온전히 '한니발' 캐릭터에 흡수된다. <트루 디텍티브>는 그에 비해서 좀 더 이성적이다. 처음 발생하는, 드라마틱하고 정교한 살인은 이야기의 시작을 장식할 뿐이다 (이 드라마가 지니는 지루함을 보강하기 위해서이지 않을까). <트루 디텍티브>는 사건의 추적보다는 사건을 추적하는 이의 삶을 아주 고리타분하고 찌질스럽게 계속 들여다본다. 처음 이 드라마에 적응하기 힘들었던 것은, 이 드라마가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사건의 진행이 아니라, 사건 안에 존재하는 캐릭터의 일상이었기 때문이다 (여기서도 어떤 면에서는 '사건' 자체는 사라진다). 아마도 우디 해럴슨과 매튜 맥터허니가 아니었으면 이 드라마를 끝까지 보지 못했을 것이다 (특출한 배우 둘을 캐스팅한 이유는 있었다).


<트루 디텍티브>는 온전히 남성의 드라마이다. 부정적인 마초의 드라마가 아니라 오히려 꽤나 구질구질한 중년들(?)의 드라마이다. 일종의 동료애 혹은 중년 이후의 빛바랜 과정들이 이 드라마에서는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17년의 시간성은 자연스레 주인공들의 삶에 접근하게 되고, 길기만 한 그들의 인생은 평행선을 달린다. 그들이 만나는 지점은 바로 그들이 추적해야할 '사건'이며 그것을 대하는 신념이다. 17년간의 추적을 통해서 그들은 작은 결말을 내지만, 그 안에서 등장한 수많은 악역 중에서 단지 4명 정도를 잡는데 그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추적을 멈출 수 없다. 전형적이라고 바라볼 수도 있는 결말에서 그들은 다시 어디론가 떠난다. 마지막 회에서는 마티와 러스트의 삶은 대칭적으로 보여진다. 그들의 삶은 씁쓸한 느낌을 준다. 병원에서 마티는 가족들과 둘러싸여 눈물을 흘린다. 반면 러스트는 마티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눈물을 흘린다(러스트에게는 가족이 없다. 그는 일종의 자연 현상이므로 태생이 없는 것이 당연하다). 드라마 내내 욕망으로 좌충우돌하는 마티와 괴짜처럼 단호한 러스트는, 어느 순간 동등한 위치가 되어 있다. 전혀 다른 그들을 바라보는 시선은 담담하다. 그들이 만나는 지점은 우리가 거창하게 말하는 정의감이 아니라, 인스턴트 음식과 맥주를 매우 무료하게 혼자서 먹는 그 순간이다. 쿨하거나 아름답거나 멋있는 장면이 아니라, 망가지고 부서지고 그래도 다시 일어나는 혹은 일어날 수 밖에 없는 순간들을 보여주기 위해 <트루 디텍티브>는 무던히 노력한다.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장점은 방법론에 대한 선택을 강요하거나 의문을 던지는 대신 그 방법론들이 실재에서 어떻게 만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트루 디텍티브>에서 진정한 ‘사건’은 그들이 평생을 걸쳐 추적하는 살인사건이 아니라, 오히려 마티와 러스트의 삶이 교차하는 그 순간일지도 모른다. 그 지점이 흔하디 흔한, 하지만 찾을 수 없는 '가족애'가 아닌 것이 천만다행이다.

 

 

 

크리티칼 원문보기

http://mylab.nayana.kr/s1/mainissue/5969